정릉천, 청계천, 중랑천, 한강의 생태공학 기술 적용 연구
2012년 5월 26일 토요일.
자전거를 타고, 카메라를 메고 집을 나섰다.
축제도 끝났고 하니 과제를 할 시간.
1. 정릉천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3C3A364FC185302B)
정릉천은 내부순환로 그늘이 드리워져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3FE7364FC1853126)
물의 수차를 조성하여 어도의 기능을 하고, 음..
물이 떨어지면서 거품을 만드는데 산소를 공급해준다.
중간중간 섞어놓은 돌들은 바이오필름을 고정하는 역할도 하고 물과의 접촉 면적을 늘려주어..
모르겠다 배운거 다 까먹었어..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4515364FC185321C)
물거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3F46364FC1853320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40F2364FC1853424)
생태공학적으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리도 와서 서식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54E9364FC185350B)
정릉천에 떠다니는 엄마 오리와 아기 오리들.
뭘 먹고 살까?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646E0364FC185351C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034F414FC1853610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02AC414FC1853711)
장식적인, 조경 요소들?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02BC414FC1853813)
이렇게 물이 흘러가는데, 여기도 표면적을 늘리는 돌들이 많이 붙어 있다.
물이끼와 함께 두터운 biofilm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자전거 도로 옆의 벽은 벽면녹화를 만들어서 외부에서 정릉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물질들을
1차적으로 걸러주는 기능을 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08A5414FC185390A)
반대편 역시 벽면녹화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0396414FC1853A11)
수생식물대의 조성.
수생식물대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.
- 강바닥의 더 깊은 곳 까지 산소를 전달해주고, 산화층 환원층의 면적을 넓혀주어 탈질, 탈인 과정을 촉진한다.
- 현탁물질의 교란을 억제해서 물의 투명도를 좋게 유지해준다.
- 동물성플랑크톤의 서식지, 피난처를 제공해줘서 식물성플랑크톤을 줄여준다, 물을 맑게 유지해준다.
- 수생생물의 큰 biomass 는 물속 질소 양분을 더 효과적으로 고정한다.
-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물리적으로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.
... and so on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7CE3414FC1853A15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02A6414FC1853B11)
정릉천에 한국 최초로 폴라카블 이라는게 설치되었다.
음...
폴라카블 : 하천의 고여있는 물을 정화해주고, 녹화공법에도 사용되고, 생태계 복원, 공기 정화 등등
좋은건 다 들어가 있네?!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6F80424FC1853C27)
폴라카블 폴라카블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6D57424FC1853D26)
여기는.. 이제 청계천!
2. 청계천
청계천(하류 부근)의 단면은 다음과 같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6CA4424FC1853E23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6FAA424FC1853F27)
청계천과 중랑천이 만나는 지점은 철새 서식지를 조성해놓았다. 자연과 유사한 환경을 통해 야생 동물들을 끌어들이는 공법.
나무 데크 위에서 철새를 관찰할 수 있게 해 놓았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66AC4424FC185402D)
청계천 고산자교부터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합수지점.
논병아리, 왜가리, 황조롱이, 때까치, 백할미새, 흰뺨검둥오리, 넓적부리, 고방오리, 댕기흰죽지, 비오리, 잿빗개구리매, 깝작도요 등등등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6E4A424FC1854027)
한양대학교 옆 운동장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72CB424FC185411C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266C3D4FC1854223)
저 새는 무슨 새지?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1E083D4FC185432B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1A793D4FC1854434)
3. 중랑천
중랑천은 나에게 참 소중한 공간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1DFE3D4FC185452F)
중랑천을 거쳐 한강으로 가는 길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232D3D4FC1854524)
4. 한강
한강은 오래전에, 생태공학적인 접근 없이 개발이 되어서
강 양쪽이 콘크리트로 덮여 있고 수중보가 있기 때문에 항상 많은 물이 차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25913D4FC1854825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299E3D4FC185491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5913464FC1854A08)
한강의 물고기 산란장
인터넷에서 추가적으로 자료를 찾아보니, 합성섬유로 인공 수초를 만들어 놓아서 물고기들의 산란을 유도했다고 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55C6464FC1854A0D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4876464FC1854B18)
벽면녹화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5945464FC1854C07)
한강에서 서울숲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타고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2510F464FC1854D11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4C16464FC1854E16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450FE464FC1854F0F)
"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습니다."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238B3D4FC1855026)
서울 숲, 갤러리아 포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936ED3D4FC1855111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324B03D4FC1855120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1CDC3D4FC185522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527203D4FC1855323)
서울시 수도박물관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26A63D4FC1855425)
정수사업소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20373D4FC185552F)
서울숲에 들어왔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759C33C4FC1855619)
생태숲이라 해서 들어가 보았지만, 생태공학적인 요소들을 쉽게 찾을 수 없었습니다.
꽃사슴만 실컷 구경하다 나왔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85A5D3C4FC1855718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6553B3C4FC185581E)
성동구청 앞의 연못